(수원 = 국제뉴스) 김만구 기자 = 김동연 경기지사는 24일 “민주당은 신뢰의 위기”라면서 “민심이 떠나고 있다”고 했다.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포럼 출장을 마치고 이날 오후 귀국하는 길에 인천공항에서 한 현장 프리핑에서 최근 발표된 민주당 지지율과 관련된 질문을 받고 “여론조사검증위가 아니라 민심 바로알기 위원회가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 경제도 걱정이지만 과연 민주당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권정당인가 하는 질문을 스스로 던져 봐야한다”면서 “국민 여러분께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경제 시간이다. 책임지고 이것을 맡을 수 있는 유능함이 필요하다”며 “수권정당으로 거듭나는데 역할을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조기 대선시 출마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수레를 말 앞에 둘 수 없다”며 “지금은 대선에 대한 생각을 할 때가 아니고 위기 극복을 해야 할 일을 할 때”라고 한 발 비켜섰다.
이어 “제대로 된 정치지도라면 개인의 정치 욕심이 아니라 위기 극복을 위해 해야할 일을 먼저 집중해서 함께 힘을 합쳐서 해결해야 한다”면서 “개인적인 정치적 이해나 욕심을 들어갈 때가 아니다”고 했다.
자신의 지지율을 묻는 질문에는 “여론 조사에 일희일비 할 필요 없다”고만 대답했다.
그는 “다보스에서 한국 경제의 확신, 회복탄력성과 잠재력를 얘기했고, 해법도 제시했다”면서 “정치적으로 내란 종식, 탄핵 인용, 불가피한 조기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필요하다는 얘기를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법 계엄을 주도한 대통령을 배출한 정당이 다시 정권을 잡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정권교체가 필요하고 그것이 민주주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경제에 있어서도 비상경영체제에 이어 새로운 정부는 윤석열 정부의 그동안의 역주행과 실정을 바꿀 수 있는 경제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확대재정 정책, 제대로 된 조세정책, 미래 먹거리를 위한 산업정책, 두터운 사회 안전망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와 같은 경제정책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조기 추경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는 "규모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신속하게 해야 한다"면서도 민주당이 편성 요구하는 민생경제지원금에 대해서는 분명한 반대 입장을 고수했다.
김 지사는 “(민주당이) 민생경제지원금 10조원 이상을 포함시켰는데 모든 국민에게 나눠주는 민생지원금보다 어렵고 힘든 취약계층에 보다 두텁고 촘촘하게 지원하느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면서 “그것이 내수진작, 물가상승 억제 효과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내 정치 지도자들을 향해 쓴소리도 했다.
김 지사는 “(다보스포럼에서 만난) 세계 지도자들은 함께 모여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앞날을 준비하고 있는데 대한민국의 정치 지도자들은 어떤 문제를 고민하고 있는지 마음이 몹시 착찹했다”면서 “내 편 네 편 가르기, 내란에 가까운 정쟁, 기득권의 유지와 확장 이런 데 관심을 쏟다보니 정작 세계 지도자들이 모여서 얘기하는 주제에 대해 관심을 갖지 못하는 현실에 자괴감과 참담한 마음도 들었다”고 했다.
다보스포럼 출장 성과에 대해서는 두가지를 들었다.
김 지사는 “수백명의 세계 지도자들에게 대한민국 경제잠재력과 회복탄력성에 대해서 분명한 확신과 메시지 줬고, 트럼프측 인사들을 만났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아칸소 주지사인 새라 샌더스 주지사는 트럼프 1기 정부에서 대변인이 했던 분이고, IBM 부회장인 게리 콘은 백악관 경제위원장을 한 분으로 한국으로 얘기하면 대통령실 정책 실장 같은 분”이라고 소개하고 “트럼프 정부와 저, 경기도, 대함닌국 대표해서 소통하고 함께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네트워킹 한 것이 성과”라고 강조했다.